자동차 보험료 환급 방법 및 주의사항 – 제3자 이전/폐차/법인 차량 시 받는 법
자동차 보유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겪어보았을 법한 상황이 바로 차량 매도 및 폐차에 따른 자동차 보험료 환급 문제입니다. 중고차 매도나 폐차 시 보험료 환급 받는 방법을 제대로 모르고 계셨다면 이 글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제3자에게 차량을 이전하거나, 폐차 또는 수출하는 경우, 법인 차량인 경우 등 상황에 따라 보험료 환급 방법이 조금씩 다릅니다. 아울러 환급 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들도 꼭 숙지해두셔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의무보험 미가입에 따른 과태료를 물어야 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런 자동차 보험료 환급과 관련된 필수 정보를 빠짐없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아직 차량을 처분하시기 전이라면 이 글을 꼭 읽어두시기 바랍니다!
자동차 보험료 환급 준비물
제3자에게 이전하는 경우
이전이 완료된 자동차 등록증 사진을 준비하시면 됩니다.
폐차, 수출하는 경우
자동차 말소 등록 사실증명서, 폐차 인수 증명서, 자동차 등록원부 중 하나의 서류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법인 차량인 경우
법인통장 사본을 준비하시면 됩니다.
자동차 보험금 환급 금액
자동차 보험 가입기간 동안 사용 일수를 제외한 나머지 기간만큼 일할 계산되어 환급을 받게 됩니다. 보험 가입 기간 대비 실제 사용 기간을 고려하여 환급금이 산정됩니다.
자동차 보험금 해지 방법
명의이전 완료하기
차량의 명의 이전이 모두 완료된 상태에서 보험 해지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의무보험 미가입에 따른 과태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보험사 고객센터 연락하기
자동차 판매 후 자동차 보험 해지를 한다고 말씀하시면 됩니다.
준비서류 제출하기
이전 등록증을 요청하시는 경우 준비된 서류를 이메일이나 팩스로 제출하시면 됩니다. 함께 환급금 받을 계좌번호도 알려주세요.
환급금 받기
등록한 계좌번호로 자동차 보험료 환급금이 입금되면 모든 절차가 완료됩니다!
주의사항 3가지
제3자에게 이전하신 경우
명의를 이전하시기 전에 미리 자동차 보험을 해지하면 의무보험 미가입으로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수출 또는 폐차하는 경우
수출이나 폐차 전에 보험을 해지하면 역시 과태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환급금 미수령하는 경우
자동차를 처분하신 뒤 3년 이내에 환급금을 신청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소멸되니 주의해 주세요!
자동차 의무 보험 미가입 시 과태료 계산 방법을 알아두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폐차일로부터 3개월 이후 발견된 경우, 3개월분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이전일로부터 6개월 이후 발견된 경우라면 6개월분의 과태료를 내셔야 하죠.
이처럼 자동차 보험 해지 시 의무사항을 잘 지켜주셔야 불필요한 과태료를 물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차량 처분 전 이 글을 다시 한 번 살펴보시고, 꼭 필요한 절차들을 빠짐없이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 더 있다면 언제든 문의해주세요 🙂
자동차를 처분하시는 분들이라면 이 정보가 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보험료 환급을 놓치지 않도록 꼭 기억해두세요. 앞으로도 다양한 자동차 관련 정보를 제공해드리겠습니다. 궁금한 점이 더 있다면 언제든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